본문 바로가기
Zㅔ테크의 기본

설마 월급 통장을 그냥 통장에 받나요? 급여계좌로 바꾸세요!

by 경제닌킴 2023. 9. 4.
728x90
반응형

✏️ 이런 분들을 위해 쓰는 글

월급통장이 무엇인지 & 왜 만드는지 & 어디서 만들어야 할 지 고민인 사회 초년생

🧧 당신의 첫 통장은 무엇이었나요

인생 첫 통장은 세뱃돈 통장으로, 엄마가 어렸을때 개설해줬었다. 중학교 2학년 때 처음으로 내 명의의 체크카드를 만들었는데, 그땐 기숙사 학교에 살고 있어서 학교에 외환은행 버스가 와서 스무살 넘어서까지도 한동안은 (외환은행과 합쳐진) 하나은행 계좌를 쓰고 있었다. 스무살 때는 토스랑 카카오뱅크가 막 떠오르고 있을때라, 주거래 통장은 쭉 카카오뱅크로 썼었던 것 같다. 입사하고 나서도 한참동안은 카카오뱅크로 월급을 받다가, 급여통장 개설이 중요하다는 얘기를 어디서 듣고 급하게 기존 하나은행 계좌를 급여통장으로 전환했던 기억이 있다. 최근에는 페퍼파킹통장에 돈을 묶어두고 있어서 더 자주 사용하는 카카오뱅크 또는 페퍼통장으로 급여계좌를 바꿀까 하다가, 월급 통장과 관련된 유튜브를 보게 되었다. 

 

📖 월급 통장 기초 개념 이해하기

- 월급통장(급여통장) = 매월 일정한 날짜에 일정 금액이 급여, 월급이라는 명목으로 입금되는 통장

- 월급 통장을 만들어야 하는 이유: 나중에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때, 우대 금리를 받기 위해서는 월급통장을 갖고 있는지가 중요함!

- 월급통장의 공통 장점: 이체/ATM 등의 수수료 혜택, 환전 우대 혜택 등 소소한 혜택

 

 ⭐️ 월급통장 개설은 꼭 아래 5개의 은행에서 (직장인이라는 가정하에)

- 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, 농협은행

 

🏦 은행별로 살펴보기

1. 국민은행 

- 직장인우대통장: 혜택이 딱히 좋지 않음

- ⭐️ KB마이핏 통장: 월급 받아서 가만히 놔둬도 1.5%의 이자 지급

 

예금 상품/가입 ( 개인뱅킹 | 금융상품 | 예금 | 예금 상품/가입 )

연 1.5% 비상금 이율과 출금·이체수수료 횟수제한 없이 면제!KB마이핏통장 가입가능경로 스타뱅킹 대상 만 18세 이상 ~ 만 38세 이하 개인 혜택 연1.5% 비상금 이율과 출금·이체수수료 면제 KB스타

obank.kbstar.com

 

2. 우리은행

- 첫급여우리통장: 신용대출 우대금리 0.3%, 제주도 1박 여행 숙박권/렌터카 1일 이용권 등의 혜택

 

자유입출금상품 - 우리은행

 

spot.wooribank.com

 

3. 신한은행

- 급여클럽: 대출 저금리 조건 중 하나가 급여 클럽 가입 여부, 가입 시 1~2만원 스타벅스 기프티콘 제공

 

3. 하나은행

- 급여하나통장: 만 35세 이하 청년직장인 우대금리 1.4% 추가제공, 연계된 적금 가입시 5.85% 이자 (최고금리)

 

급여하나 통장

급여 하나면 된다! 급여실적 하나로 수수료우대 혜택과 만35세이하 청년직장인을 위한 우대금리가 제공되는 월급통장!

www.kebhana.com

4. 농협은행

- NH1934: 최대 3% 이자

 

https://smartmarket.nonghyup.com/servlet/SFSD0130R.view

비밀번호 입력오류 안내 대상비밀번호 - 자금이체비밀번호, OTP또는 보안카드 비밀번호(단, 타기관 OTP는 오류횟수가 안내되지 않습니다.) 입력오류횟수 - 자금이체비밀번호 : 회, 자금이체비밀번

smartmarket.nonghyup.com

 

 

💬 이것도 알아두세요

- 단순 이자만 따지지 말고 부가적인 혜택을 확인하고, 사회초년생일 경우 위에 나온 은행사 중 본인에게 적합한 것 선택

- 체크/신용카드와 연계된 주거래은행이 있을 경우 본인은행에서 급여통장으로 전환하는 것만으로도 혜택을 받을 수 있음

- 월급 통장의 경우 '급여' 또는 '월급' 이름으로 실질적으로 입금이 되어야함 (프리랜서의 경우 본인이 직접 입금하고 입금자 명을 '급여'로 설정해도됨)

 

 

반응형

'Zㅔ테크의 기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산배분을 위한 계좌 준비하기  (0) 2024.02.25
직장인을 위한 돈 모으는 방법  (0) 2024.01.2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