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후준비2 '딸아, 돈 공부 절대 미루지 마라'를 들은 딸이 🧐 젊어서 돈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? - 40대가 되면 불현듯 찾아오는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중압감. '열심히 일은 했는데, 모아 놓은 돈이 없네?'를 40대가 되어서야 발견할 수 도 있다. - 재무제표를 볼 때 보통 세가지를 이야기 한다. ㄴ 1) 현금흐름표: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변동사항 = 지갑에 얼마 들어 있는가 ㄴ 2) 손익계산서: 수익 대비 지출 비용의 합계 = 남은돈이 얼마 있는가 ㄴ 3) 대차대조표: 부채를 포함한 순자산의 합계 = 내가 지금까지 얼마의 자산을 모아 놓았는가 → 마흔 이후부터는 '대차대조표'가 중요하다. 그동안은 열심히 일해서 현금흐름과 손익계산서가 괜찮더라도, 마흔 이후부터는 자산이 나를 지켜주게 된다. 마흔의 '대차대조표'는 2~30대부터 준비해야 한다. .. 2023. 9. 4. 인플레이션 시대, 20대에 하는 노후 대비 인플레이션 시대, 노후 대비가 달라지고 있다 - 포춘코리아(FORTUNE KOREA) 미국인들은 지난 2년간 격변기를 겪으며 경제 관념을 재설정하고 있다. 편안한 노후를 위해 필요한 비용이 과거보다 많아진 상황이다.노스웨스턴 뮤추얼은 18세 이상 2740명을 대상으로 은퇴에 www.fortunekorea.co.kr Z세대 중 40%는 100세까지 살 수 있다고 한다. 하지만 60세에 은퇴한다면, 100세까지 40년 동안 어떻게 충분한 생활을 보장할 수 있을까? MZ 10명중 9명 "국민연금 고갈 불안" - 매일경제 2030세대 인식조사 "개인연금으로 노후대비"수령 늦추는데 절반이 찬성…기대소득 月200만~300만원 www.mk.co.kr 국민연금만 믿고 기다릴 수는 없다. 저출산과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있.. 2023. 9. 3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