🧐 젊어서 돈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가 뭘까요? - 40대가 되면 불현듯 찾아오는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중압감. '열심히 일은 했는데, 모아 놓은 돈이 없네?'를 40대가 되어서야 발견할 수 도 있다. - 재무제표를 볼 때 보통 세가지를 이야기 한다. ㄴ 1) 현금흐름표: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의 변동사항 = 지갑에 얼마 들어 있는가 ㄴ 2) 손익계산서: 수익 대비 지출 비용의 합계 = 남은돈이 얼마 있는가 ㄴ 3) 대차대조표: 부채를 포함한 순자산의 합계 = 내가 지금까지 얼마의 자산을 모아 놓았는가 → 마흔 이후부터는 '대차대조표'가 중요하다. 그동안은 열심히 일해서 현금흐름과 손익계산서가 괜찮더라도, 마흔 이후부터는 자산이 나를 지켜주게 된다. 마흔의 '대차대조표'는 2~30대부터 준비해야 한다. ..